-
- 공지사항
[공지]재취업에 유리한 국가기술자격 종목은?
“재취업에 유리한 국가기술자격 종목은?" |
-고용노동부,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재취업(이·전직) 분석 결과 발표 |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재취업을 목적*으로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응시해 자격을 취득한 사람의 재취업 성공률과 평균 소요 기간을 분석하여 발표했다.
* ‘23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중 ’이·전직 목적‘으로 자격시험에 응시했다고 응답한 사람의 자격 취득 후 재취업 및 사업장 변경이력(’24년 7월 말 기준)을 분석
“국가기술자격 등급별 재취업 성공률 및 재취업 소요 기간은?”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 취득자(61만 명, 2023년) 중 재취업(이·전직)을 목적으로 자격시험에 응시한다는 응답자*는 24,031명(3.9%)을 차지했다.
참고 1-1 |
이들 중 재취업에 성공*한 평균 비율(고용보험 가입 이력 기준)은 41.1%, 평균 소요 기간은 78.9일로 나타났다.
참고 1-2 |
* 취득 당시에는 ‘미고용’ 상태였으나 취득 후 재취업한 경우와 취득 당시 ‘재직’ 상태였으나 취득 후 소속 사업장이 변경된 경우
이를 자격 등급별로 살펴보면 산업기사가 44.0%로 가장 높은 재취업 성공률을 보였으며, 기능사 41.8%, 서비스 분야 40.9%, 기사 39.3%, 기술사 39.0%, 기능장 28.0%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재취업 소요 기간은 기능장 39.2일로 가장 짧게 나타났고, 기술사 48.8일, 산업기사 63.2일, 기사 66.8일, 기능사 88.3일, 서비스 분야 99.9일로 나타났다.
참고 1-2 |
산업기사 |
기능사 |
서비스 |
기사 |
기술사 |
기능장 |
44.0 |
41.8 |
40.9 |
39.3 |
39.0 |
28.0 |
산업기사 |
기능사 |
서비스 |
기사 |
기술사 |
기능장 |
99.9 |
39.2 |
88.3 |
63.2 |
66.8 |
48.8 |
[등급별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재취업 성공률(%)] |
[등급별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재취업 평균 소요기간(일)] |
재취업 목적의 취득자가 가장 많은 직무분야는 건설, 안전관리, 전기·전자 분야 순으로 나타났으며, 등급별로 가장 많이 취득하는 종목을 살펴보면 기술사·기능장은 위험물기능장(132명), 기사 등급은 산업안전기사(1,910명), 산업기사 등급은 산업안전산업기사(649명), 기능사 등급은 지게차운전기능사(3,143명), 서비스 분야는 직업상담사 2급(516명)으로 나타났다.
참고 1-3, 4 |
[재취업 목적으로 가장 많이 취득하는 직무분야와 성공률 및 소요기간]
순위 | 직무분야 | 재취업목적 취득자 수(명) | 재취업자수(명) | 재취업 성공률(%) | 평균 소요기간(일) |
1 | 건설 | 7,837 | 3,226 | 41.2 | 86.1 |
2 | 안전관리 | 5,445 | 2,185 | 40.1 | 65.5 |
3 | 전기·전자 | 2,304 | 1,106 | 48.0 | 62.5 |
[재취업 목적으로 가장 많이 취득하는 자격 종목]
순위 | 기술사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 서비스분야 | |||||
기능장 |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
1 | 위험물 기능장 | 132 | 산업안전 기사 | 1,910 | 산업안전 산업기사 | 649 | 지게차운전기능사 | 3,143 | 직업 상담사2급 | 516 |
한편, 재취업 성공률이 가장 높은 종목(취득자 50인 이상 중)은 각 등급별로 전기기사가 48.6%, 전기산업기사 60.8%, 승강기기능사 58.2%, 직업상담사 2급 44.6%로 나타났으며, 재취업 소요 기간이 가장 짧은 종목(재취업자 수 30인 이상 중)을 등급별로 살펴보면 에너지관리기사 42.2일,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43.7일, 자동차정비기능사 52.7일, 사회조사분석사 2급 82.6일로 나타났다.
참고 1-5, 6 |
[재취업 성공률이 가장 높은 자격 종목]
순위 | 기술사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 서비스분야 | |||||
기능장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1 | 소방 기술사 (3/3) | 100 | 전기기사 (270/555) | 48.6 | 전기 산업기사 (247/406) | 60.8 | 승강기기능사 (57/98) | 58.2 | 직업상담사2급 (230/516) | 44.6 |
[재취업 소요 기간이 가장 짧은 자격 종목]
순위 | 기술사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 서비스 | |||||
기능장 |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
1 | 교통기술사(1) | - | 에너지관리 기사 (51) | 42.2 | 공조냉동기계 산업기사 (49) | 43.7 | 자동차정비 기능사 (59) | 52.7 | 사회조사 분석사2급 (79) | 82.6 |
“정책 연령별 재취업 성공률이 높고 재취업 소요기간이 짧은 종목은?” |
정책 연령별로 재취업 성공률을 살펴보면 청년층(19~34세)이 4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령층(55세 이상) 40.2%, 중장년층(35세~54세) 37.9% 순으로 나타났다. 재취업에 소요된 기간은 고령층이 75일로 가장 짧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재취업에 소요된 기간이 비교적 긴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 2-1 |
청년층이 재취업을 목적으로 가장 많이 취득하는 종목은 산업안전기사(1,134명), 중장년층과 고령층은 지게차운전기능사가 각각 1,633명과 379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 2-2 |
[연령별 재취업 목적으로 가장 많이 취득하는 자격 종목]
순위 | 청년층(19~34세) | 중장년층(35~54세) | 고령층(55세이상) |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
1 | 산업안전기사 | 1,134 | 지게차운전기능사 | 1,633 | 지게차운전기능사 | 379 |
재취업 성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청년층의 경우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가 63.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기산업기사 57.1%, 미용사(피부) 57.0% 순이었으며, 중장년층과 고령층의 경우 전기산업기사가 각 63.0%, 6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령층에서는 설비보전기사가 60.7%로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참고 2-3 |
[연령별 재취업 성공률이 가장 높은 자격 종목]
순위 | 청년(19~34세) | 중장년(35~54세) | 고령(55세이상)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
1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39/61) | 63.9 | 전기산업기사 (102/162) | 63.0 | 전기산업기사 (65/104) | 62.5 |
재취업에 소요되는 평균 기간이 가장 짧은 종목은 청년의 경우 전기산업기사 55일, 중장년과 고령층은 건축설비기사가 각각 35.5일과 32.5일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
참고 2-4 |
[연령별 재취업 소요기간이 가장 짧은 자격 종목]
순위 | 청년층(19~34세) | 중장년층(35~54세) | 고령층(55세이상) | |||
종목명 (재취업자 수) | 소요 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소요 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소요 기간(일) | |
1 | 전기산업기사(80) | 55.0 | 건축설비기사(37) | 35.5 | 건축설비기사(36) | 32.5 |
"성별 재취업 성공률이 높고 재취업 소요기간이 짧은 종목은?" |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재취업 성공률이 41.3%, 여성은 40.5%로 나타났으며, 재취업 소요기간은 남성 73일, 여성 93.5일로 남성이 짧게 나타났다.
참고 3-1 |
참고 3-2 |
재취업 성공률이 높은 자격 종목은 남성의 경우 전기산업기사가 60.8%,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가 58.3%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양식조리기능사 57.1%, 웹디자인기능사 51.4% 순으로 나타났다.
참고 3-3 |
[성별 재취업 성공률이 가장 높은 종목]
순위 | 남성 | 여성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1 | 전기산업기사 (236/388) | 60.8 | 양식조리기능사 (48/84) | 57.1 |
재취업 소요기간이 가장 짧은 종목은 남성은 설비보전기사 42.3일, 건축설비기사 42.6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건설안전기사 51.2일, 사무자동화산업기사 69.6일 순으로 나타났다.
참고 3-4 |
[성별 재취업 소요 기간이 가장 짧은 종목]
순위 | 남성 | 여성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 소요기간(일) | |
1 | 설비보전기사(95) | 42.3 | 건설안전기사(54) | 51.2 |
“건설·안전관리·전기전자 분야 재취업을 위해서는 국가기술자격 필수!” |
최근 4년간 재취업(이·전직) 목적의 국가기술자격 취득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분야(1,000명 이상 중)는 안전관리 분야로 2020년 대비 2배 이상(’20년 2,279명 → ’23년 5,455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분야는 1.7배, 전기전자분야는 1.5배 증가했다.
참고 4-1, 2 |
이는 최근 몇 년간 건설과 안전 분야에서 중대재해 및 산업안전 관련 법령이 강화되었고, 이 분야에서는 국가기술자격을 필수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 자격의 경우 상대적으로 재취업 성공률이 높고 평균 재취업 소요일수도 짧아 해당 분야 국가기술자격 취득이 고용경쟁력 향상과 직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임영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이번에 분석한 데이터를 보면 국가기술자격 취득은 이·전직 등 재취업에도 상당한 도움이 되며, 특히 국민의 생명·안전과 직결되는 분야의 재취업에 국가기술자격의 보유는 돋보이는 경쟁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재취업자의 국가기술자격 취득 정보분석은 개인별 직업능력개발 및 설계를 위한 의미 있는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고용노동부는 앞으로도 국가기술자격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에게 더욱 유용하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담당 부서 | 직업능력정책국 | 책임자 | 과 장 | 이진우 | (044-202-7286) |
| 직업능력평가과 | 담당자 | 사무관 | 김연승 | (044-202-7290) |
담당 부서 | 한국산업인력공단 | 책임자 | 부 장 | 박상우 | (052-714-8351) |
| 자격품질기획부 | 담당자 | 차 장 | 조수영 | (052-714-8665) |
참고 1 |
| 국가기술자격 등급별 분석 |
1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중 재취업(이·전직) 목적 취득자
등급 |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수 | ||
전체(명) | 재취업목적 취득자수(명) | 비율(%) | |
기술사 | 1,349 | 41 | 3.0 |
기능장 | 7,463 | 239 | 3.2 |
기 사 | 139,157 | 7,471 | 5.4 |
산업기사 | 60,215 | 2,810 | 4.7 |
기능사 | 391,938 | 12,421 | 3.2 |
서비스 | 16,127 | 1,049 | 6.5 |
합(비율) | 616,249 | 24,031 | 3.9 |
※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종목의 취득자만 해당, 국가기술자격 시험 접수 시 이·전직을 위해 자격을 취득하려고 한다고 응답한 경우를 분석함
2 등급별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재취업 성공률 및 평균 소요기간
등급 | 재취업 목적 취득자수(명) | 재취업자 수(명) | 재취업 성공률(%) | 평균 소요기간(일) |
기술사 | 41 | 16 | 39.0 | 48.8 |
기능장 | 239 | 67 | 28.0 | 39.2 |
기사 | 7,471 | 2,934 | 39.3 | 66.8 |
산업기사 | 2,810 | 1,237 | 44.0 | 63.2 |
기능사 | 12,421 | 5,189 | 41.8 | 88.3 |
서비스 | 1,049 | 429 | 40.9 | 99.9 |
합(비율) | 24,031 | 9,872 | 41.1 | 78.9 |
3 직무분야별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재취업 성공률 및 평균 소요기간
순위 | 직무분야 | 재취업목적 취득자수(명) | 재취업자수(명) | 재취업 성공률(%) | 평균 소요기간(일) |
1 | 건설 | 7,837 | 3,226 | 41.2 | 86.1 |
2 | 안전관리 | 5,445 | 2,185 | 40.1 | 65.5 |
3 | 전기·전자 | 2,304 | 1,106 | 48.0 | 62.5 |
4 | 기계 | 1,119 | 538 | 48.1 | 63.7 |
5 | 이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 980 | 376 | 38.4 | 104.0 |
6 | 정보통신 | 838 | 272 | 32.5 | 93.6 |
7 | 식품·가공 | 797 | 349 | 43.8 | 105.6 |
8 | 농림어업 | 790 | 269 | 34.1 | 92.0 |
9 | 음식·서비스 | 746 | 347 | 46.5 | 100.2 |
10 | 환경·에너지 | 733 | 284 | 38.7 | 51.6 |
11 | 화학 | 691 | 233 | 33.7 | 61.2 |
12 | 사회복지·종교 | 555 | 251 | 45.2 | 101.0 |
13 |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332 | 137 | 41.3 | 98.3 |
14 | 경영·회계·사무 | 274 | 105 | 38.3 | 79.4 |
15 | 재료 | 231 | 82 | 35.5 | 75.0 |
16 | 보건·의료 | 199 | 70 | 35.2 | 112.7 |
17 | 인쇄·목재·가구·공예 | 73 | 19 | 26.0 | 82.7 |
18 | 영업·판매 | 26 | 6 | 23.1 | 62.7 |
19 | 운전·운송 | 25 | 6 | 24.0 | 50.8 |
20 | 섬유·의복 | 20 | 5 | 25.0 | 66.2 |
21 | 광업자원 | 16 | 6 | 37.5 | 169.5 |
4 재취업 목적으로 많이 취득하는 자격 종목 Top 10
순위 | 기술사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 서비스분야 | |||||
기능장 |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
1 | 위험물 기능장 | 132 | 산업안전기사 | 1,910 | 산업안전 산업기사 | 649 | 지게차운전기능사 | 3,143 | 직업 상담사2급 | 516 |
2 | 에너지관리기능장 | 24 | 건설안전기사 | 615 | 전기 산업기사 | 406 | 굴착기운전기능사 | 1,118 | 사회조사 분석사2급 | 201 |
3 | 배관 기능장 | 22 | 전기기사 | 555 | 위험물 산업기사 | 395 | 전기 기능사 | 908 | 임상 심리사2급 | 167 |
4 | 전기 | 18 | 소방설비기사(전기) | 539 | 건설안전 산업기사 | 200 | 한식조리기능사 | 434 | 직업 상담사1급 | 39 |
5 | 용접 | 10 | 정보처리기사 | 527 | 사무자동화산업기사 | 191 | 건축도장기능사 | 408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 전문가 | 39 |
6 | 기계가공기능장 | 8 | 산업위생관리기사 | 492 | 소방설비 산업기사 (전기분야) | 92 | 미용사 (피부) | 391 | 임상 심리사1급 | 27 |
7 | 제선 기능장 | 6 | 소방설비 | 302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 85 | 조경 기능사 | 369 | 텔레마케팅관리사 | 26 |
8 | 가스 기능장 | 5 | 전기공사기사 | 299 | 식물보호 산업기사 | 70 | 제빵 | 328 | 컨벤션 기획사2급 | 14 |
9 | 건설안전기술사 | 4 | 인간공학기사 | 209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 69 | 제과 기능사 | 294 | 스포츠경영관리사 | 11 |
10 | 건축시공기술사 | 4 | 건축설비기사 | 205 | 기계정비 산업기사 | 56 | 미용사 | 248 |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 5 |
5 재취업 성공률이 높은 자격 종목 Top 10
※ 기사 등급 이하부터는 재취업 목적 취득자수가 50인 이상인 종목 중에서 재취업률 순으로 제시함
순위 | 기술사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 서비스분야 | |||||
기능장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1 | 소방 기술사 (3/3) | 100 | 전기기사 (270/555) | 48.6 | 전기 산업기사 (247/406) | 60.8 | 승강기 기능사 (57/98) | 58.2 | 직업상담사2급 (230/516) | 44.6 |
2 | 자동차정비 기능장 | 100 | 실내건축 기사 (32/66) | 48.5 | 공조냉동기계 산업기사 (49/85) | 57.6 | 양식조리 기능사 (67/120) | 55.8 | 사회조사 분석사2급 (79/201) | 39.3 |
3 | 공조냉동기계 기술사 (1/1) | 100 | 설비보전 기사 (95/197) | 48.2 | 산업안전 산업기사 (305/649) | 47.0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33/65) | 50.8 | 임상심리사2급 (63/167) | 37.7 |
4 | 교통 기술사 (1/1) | 100 | 산림기사 (58/126) | 46.0 | 기계정비 산업기사 (26/56) | 46.4 | 전산응용 건축제도 기능사 (117/236) | 49.6 |
|
|
5 | 금형 기술사 (1/1) | 100 | 건설안전 기사 (264/615) | 42.9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32/69) | 46.4 | 웹디자인 기능사 (40/82) | 48.8 |
|
|
6 | 상하수도 기술사 (1/1) | 100 | 산업위생 관리기사 (203/492) | 41.3 | 건설안전 산업기사 (86/200) | 43.0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52/107) | 48.6 |
|
|
7 | 잠수 기능장 (1/1) | 100 | 건축기사 (70/170) | 41.2 | 소방설비 산업기사 (전기분야) (39/92) | 42.4 | 미용사 (피부) (190/391) | 48.6 |
|
|
8 | 전기응용 기술사 (1/1) | 100 | 산업안전 기사 (783/1,910) | 41.0 | 위험물 산업기사 (143/395) | 36.2 | 전기기능사 (435/908) | 47.9 |
|
|
9 | 제과 기능장 (1/1) | 100 | 건축설비 기사 (83/205) | 40.5 | 사무자동화산업기사 (55/191) | 28.8 | 제빵기능사 (156/328) | 47.6 |
|
|
10 | 토목구조 기술사 (1/1) | 100 | 공조냉동 기계기사 (43/112) | 38.4 | 식물보호 산업기사 (20/70) | 28.6 | 3D프린터운용기능사 (26/56) | 46.4 |
|
|
6 재취업 소요기간이 짧은 자격 종목 Top 10
※ 기사 등급 이하부터는 재취업자수가 30인 이상인 종목 중에서 소요기간이 짧은 순으로 제시
순위 | 기술사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 서비스 | |||||
기능장 |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기간(일) | |
1 | 교통기술사(1) | - | 에너지관리기사 (51) | 42.2 | 공조냉동기계 산업기사 (49) | 43.7 | 자동차정비기능사 (59) | 52.7 | 사회조사분석사2급 (79) | 82.6 |
2 | 잠수기능장(1) | - | 설비보전 기사(95) | 42.3 | 전기 산업기사 (247) | 50.4 | 환경기능사(34) | 52.7 | 직업상담사2급 (230) | 106.1 |
3 | 전기응용 기술사(1) | - | 건축설비 기사(83) | 42.4 | 소방설비 산업기사 (전기분야) (39) | 54.0 | 로더운전기능사 (96) | 54.7 | 임상심리사2급(63) | 119.0 |
4 | 건축전기 설비기술사(1) | - | 공조냉동 기계기사 (43) | 49.0 | 건설안전 산업기사 (86) | 57.6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52) | 55.3 |
|
|
5 | 토목구조 기술사 (1) | 2.0 | 소방설비 기사 (전기분야) (186) | 55.7 | 위험물 산업기사 (143) | 59.6 | 공조냉동기계기능사(33) | 56.8 |
|
|
6 | 건설안전 기술사 (1) | 2.0 | 전기기사 (270) | 56.7 | 산업위생관리 산업기사 (32) | 61.0 | 가스기능사(74) | 57.5 |
|
|
7 | 자동차정비기능장 (2) | 6.0 | 소방설비 기사 (기계분야) (91) | 59.0 | 사무자동화산업기사(55) | 65.5 | 승강기기능사(57) | 60.8 |
|
|
8 | 소방 기술사(3) | 6.3 | 건설안전 기사 (264) | 59.7 | 산업안전산업기사 (305) | 77.6 | 위험물기능사(37) | 61.9 |
|
|
9 | 용접 기능장(2) | 7.5 | 전기공사 기사 (96) | 62.0 |
|
| 에너지관리기능사 (63) | 68.6 |
|
|
10 | 에너지관리기능장 (8) | 12.3 | 인간공학 기사 (72) | 66.2 |
|
| 전기기능사(435) | 73.4 |
|
|
참고 2 |
| 정책 연령대별 분석 |
1 정책 연령대별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재취업 성공률 및 평균 소요기간
등급 | 재취업목적 취득자수(명) | 재취업자수(명) | 재취업 성공률(%) | 소요기간(일) |
18세 이하 | 45 | 7 | 15.6 | 127.6 |
청년층(19~34세) | 10,908 | 4,836 | 44.3 | 80.1 |
중장년층(35~54세) | 9,905 | 3,754 | 37.9 | 78.6 |
고령층(55세이상) | 3,173 | 1,275 | 40.2 | 75.0 |
합(비율) | 24,031 | 9,872 | 41.1 | 78.9 |
※ 재취업 목적은 취득자가 자격 접수시에 설문에 응답한 내용을 기준으로 함
2 정책 연령대별 재취업 목적으로 많이 취득하는 자격 종목 Top 10
순위 | 청년층(19~34세) | 중장년층(35~54세) | 고령층(55세이상) |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종목명 | 취득자 수(명) | |
1 | 산업안전기사 | 1,134 | 지게차운전기능사 | 1,633 | 지게차운전기능사 | 379 |
2 | 지게차운전기능사 | 1,131 | 굴착기운전기능사 | 646 | 전기기능사 | 269 |
3 | 정보처리기사 | 475 | 산업안전기사 | 631 | 굴착기운전기능사 | 205 |
4 | 산업위생관리기사 | 427 | 전기기능사 | 420 | 조경기능사 | 168 |
5 | 산업안전산업기사 | 425 | 건설안전기사 | 290 | 산업안전기사 | 145 |
6 | 위험물산업기사 | 321 | 한식조리기능사 | 283 | 건설안전기사 | 123 |
7 | 굴착기운전기능사 | 266 | 직업상담사2급 | 279 | 전기기사 | 115 |
8 | 미용사(피부) | 265 | 건축도장기능사 | 243 |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 110 |
9 | 전기기사 | 227 |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 234 | 전기산업기사 | 104 |
10 | 전기기능사 | 219 | 전기기사 | 213 | 건축설비기사 | 87 |
3 정책 연령대별 재취업 성공률이 높은 자격 종목 Top 10
※ 기사 등급 이하부터는 재취업 목적 취득자수가 50인 이상인 종목 중에서 재취업률 순으로 제시함
순위 | 청년(19~34세) | 중장년(35~54세) | 고령(55세이상)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
1 | 천장크레인운전 기능사(39/61) | 63.9 | 전기산업기사 (102/162) | 63.0 | 전기산업기사 (65/104) | 62.5 |
2 | 전기산업기사 (80/140) | 57.1 | 양식조리기능사 (35/60) | 58.3 | 설비보전기사 (37/61) | 60.7 |
3 | 미용사(피부) (151/265) | 57.0 | 전기기사 (107/213) | 50.2 | 전기기능사 (138/269) | 51.3 |
4 | 제과기능사 (91/161) | 56.5 | 한식조리기능사 (127/283) | 44.9 | 전기기사 (56/115) | 48.7 |
5 | 자동차정비 기능사(40/71) | 56.3 | 전기기능사 (187/420) | 44.5 | 한식조리기능사 (39/83) | 47.0 |
6 | 제빵기능사 (94/173) | 54.3 | 지게차운전기능사 (705/1,633) | 43.2 | 건설안전기사 (57/123) | 46.3 |
7 | 전산응용건축제도 기능사(99/184) | 53.8 | 건설안전산업기사 (45/106) | 42.5 | 조경기능사 (77/168) | 45.8 |
8 | 지게차운전 기능사(604/1,131) | 53.4 | 산업안전산업기사 (78/185) | 42.2 | 산업안전기사 (62/145) | 42.8 |
9 | 한식조리기능사 (33/62) | 53.2 | 직업상담사2급 (117/279) | 41.9 |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29/70) | 41.4 |
10 | 실내건축기사 (30/57) | 52.6 | 설비보전기사 (38/91) | 41.8 | 건축설비기사 (36/87) | 41.4 |
4 정책 연령대별 재취업 소요기간이 짧은 자격 종목 Top 10
※ 기사 등급 이하부터는 재취업자수가 30인 이상인 종목 중에서 소요기간이 짧은 순으로 제시
순위 | 청년층(19~34세) | 중장년층(35~54세) | 고령층(55세이상) | |||
종목명 (재취업자수) | 소요 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소요 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소요 기간(일) | |
1 | 전기산업기사(80) | 55.0 | 건축설비기사(37) | 35.5 | 건축설비기사(36) | 32.5 |
2 | 천장크레인 운전기능사(39) | 58.4 | 설비보전기사(38) | 37.2 |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38) | 34.0 |
3 | 자동차정비 기능사(40) | 58.7 |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79) | 44.0 | 설비보전기사(37) | 40.0 |
4 | 위험물산업기사 (121) | 61.9 | 전기기사(107) | 48.7 | 전기산업기사(65) | 41.3 |
5 | 건설안전기사 (86) | 66.7 |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41) | 49.4 | 전기기사(56) | 44.1 |
6 | 전기공사기사 (69) | 69.1 | 로더운전기능사(58) | 52.0 | 건설안전기사(57) | 45.8 |
7 | 지게차운전기능사 (604) | 69.7 | 전기산업기사(102) | 52.7 | 산업안전기사(62) | 69.9 |
8 | 산업안전기사 (473) | 70.1 | 건설안전산업기사 (45) | 56.0 | 전기기능사(138) | 74.1 |
9 | 전기기사(107) | 71.3 | 건설안전기사(121) | 61.2 | 조경기능사(77) | 94.3 |
10 | 전기기능사(110) | 71.8 | 산업안전기사(248) | 61.3 | 굴착기운전기능사(61) | 99.1 |
참고 3 |
| 성별 분석 |
1 성별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재취업 성공률 및 평균 소요기간
등급 | 재취업목적 취득자수(명) | 재취업자수(명) | 재취업 성공률(%) | 소요기간(일) |
남성 | 17,004 | 7,024 | 41.3 | 73.0 |
여성 | 7,027 | 2,848 | 40.5 | 93.5 |
합(비율) | 24,031 | 9,872 | 41.1 | 78.9 |
2 성별 재취업 목적으로 많이 취득하는 종목 Top 10
순위 | 남성 | 여성 |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종목명 | 취득자수(명) | |
1 | 지게차운전기능사 | 3,034 | 직업상담사2급 | 433 |
2 | 산업안전기사 | 1,513 | 산업위생관리기사 | 401 |
3 | 굴착기운전기능사 | 1,085 | 산업안전기사 | 397 |
4 | 전기기능사 | 861 | 한식조리기능사 | 377 |
5 | 산업안전산업기사 | 565 | 미용사(피부) | 366 |
6 | 전기기사 | 525 | 제빵기능사 | 266 |
7 |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 500 | 제과기능사 | 263 |
8 | 건설안전기사 | 499 | 정보처리기사 | 249 |
9 | 전기산업기사 | 388 | 미용사(네일) | 248 |
10 | 위험물산업기사 | 318 | 건축도장기능사 | 195 |
3 성별 재취업 성공률이 높은 자격 종목 Top 10
※ 재취업 목적 취득자수가 50인 이상인 종목 중에서 재취업률 순으로 제시함
순위 | 남성 | 여성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률(%) | |
1 | 전기산업기사 (236/388) | 60.8 | 양식조리기능사 (48/84) | 57.1 |
2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49/84) | 58.3 | 웹디자인기능사 (37/72) | 51.4 |
3 | 승강기기능사 (54/94) | 57.4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70/140) | 50.0 |
4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32/63) | 50.8 | 실내건축기사 (26/53) | 49.1 |
5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52/105) | 49.5 | 미용사(피부) (179/366) | 48.9 |
6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47/96) | 49.0 | 방수기능사 (29/60) | 48.3 |
7 | 설비보전기사 (95/196) | 48.5 | 제빵기능사 (128/266) | 48.1 |
8 | 산업위생관리기사 (44/91) | 48.4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7/57) | 47.4 |
9 | 전기기능사 (416/861) | 48.3 | 건설안전기사 (54/116) | 46.6 |
10 | 전기기사 (253/525) | 48.2 | 한식조리기능사 (175/377) | 46.4 |
4 성별 재취업 소요기간이 짧은 자격 종목 Top 10
※ 재취업자수가 30인 이상인 종목 중에서 소요기간이 짧은 순으로 제시
순위 | 남성 | 여성 |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 소요기간(일) | 종목명 (재취업자/취득자) | 재취업 소요기간(일) | |
1 | 설비보전기사(95) | 42.3 | 건설안전기사(54) | 51.2 |
2 | 건축설비기사(79) | 42.6 | 사무자동화산업기사(34) | 69.6 |
3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49) | 43.7 | 미용사(일반)(50) | 74.3 |
4 |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분야)(35) | 44.8 | 산업위생관리기사(159) | 77.2 |
5 | 에너지관리기사(47) | 44.9 | 사회조사분석사2급(63) | 78.3 |
6 | 공조냉동기계기사(43) | 49.0 | 산업안전산업기사(38) | 78.8 |
7 | 전기산업기사(236) | 51.3 | 산업안전기사(149) | 83.0 |
8 | 자동차정비기능사(55) | 52.3 | 인간공학기사(43) | 87.5 |
9 | 로더운전기능사(96) | 54.7 | 컴퓨터그래픽스 운용기능사(67) | 91.3 |
10 | 산업위생관리기사(44) | 54.8 | 건축도장기능사(74) | 91.6 |
참고 4 |
| 연도별 국가기술자격 중 재취업 목적 취득자 변화 |
1 최근 4년간 국가기술자격 재취업 목적 취득자 추이
연도 | 2020년도 | 2021년도 | 2022년도 | 2023년도 |
합격자(명) | 540,910 | 640,317 | 588,868 | 616,249 |
재취업 목적(명) | 15,421 | 19,489 | 21,031 | 24,031 |
비율(%) | 2.85 | 3.04 | 3.57 | 3.90 |
※ 재취업 목적은 취득자가 자격 접수시에 설문에 응답한 내용을 기준으로 함
2 최근 5년간 국가기술자격 직무분야별 재취업 목적 취득자 추이
순위 | 연도 | 2020년도 취득자(명) | 2021년도 취득자(명) | 2022년도 취득자(명) | 2023년도 취득자(명) | 연평균 증가율(%) |
1 | 건설 | 4,719 | 6,471 | 6,901 | 7,837 | 18.4 |
2 | 안전관리 | 2,279 | 2,573 | 3,581 | 5,445 | 33.7 |
3 | 전기·전자 | 1,528 | 1,823 | 2,206 | 2,304 | 14.7 |
4 | 기계 | 946 | 1,113 | 1,144 | 1,119 | 5.8 |
5 | 정보통신 | 485 | 1,003 | 787 | 838 | 20.0 |
6 | 이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 764 | 940 | 1,031 | 980 | 8.7 |
7 | 환경·에너지 | 576 | 648 | 811 | 733 | 8.4 |
8 | 음식·서비스 | 807 | 971 | 795 | 746 | -2.6 |
9 | 농림어업 | 622 | 701 | 675 | 790 | 8.3 |
10 | 화학 | 456 | 450 | 618 | 691 | 14.9 |
11 | 식품·가공 | 498 | 838 | 867 | 797 | 17.0 |
12 | 사회복지·종교 | 709 | 714 | 496 | 555 | -7.8 |
13 | 경영·회계·사무 | 273 | 293 | 263 | 274 | 0.1 |
14 |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346 | 414 | 356 | 332 | -1.4 |
15 | 보건·의료 | 89 | 174 | 157 | 199 | 30.8 |
16 | 재료 | 209 | 214 | 211 | 231 | 3.4 |
17 | 인쇄·목재·가구·공예 | 64 | 79 | 66 | 73 | 4.5 |
18 | 운전·운송 | 16 | 19 | 18 | 25 | 16.0 |
19 | 영업·판매 | 8 | 21 | 17 | 26 | 48.1 |
20 | 섬유·의복 | 19 | 23 | 22 | 20 | 1.7 |
21 | 광업자원 | 8 | 7 | 9 | 16 | 26.0 |
3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응시목적 (2023년 취득자 기준)
응시목적 | 취득자수(명) | 비율(%) |
취·창업 | 256,848 | 41.7 |
자기개발 | 135,007 | 21.9 |
업무수행능력향상 | 77,890 | 12.6 |
승진 및 수당 | 34,228 | 5.6 |
진학 및 학위취득 | 26,166 | 4.2 |
재취업(이·전직) | 24,031 | 3.9 |
기타 및 무응답 | 62,079 | 10.1 |
합(비율) | 616,249 | 100 |
4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취득당시 경제활동 상태
구분 | 취득자 전체 | 취득당시 재직자 | 취득당시 실업자 |
인원(명) | 24,031 | 14,688 | 9,343 |
비율(%) | 100.0 | 61.1 | 38.9 |
5 재취업 목적 취득자의 경제활동 상태별 재취업률 및 소요기간
구분 | 취득 인원(명) | 취득후 재취업 인원(명) | 재취업률(%) | 평균 재취업 소요기간(일) |
취득당시 재직자 | 14,688 | 4,645 | 31.6 | 38.8 |
취득당시 실업자 | 9,343 | 5,227 | 55.9 | 114.5 |
※ 재직자의 경우 자격 취득 후 사업장 변경이력이 있는 경우 재취업으로 분류
※ 실업자의 경우 자격 취득 후 취업한 경우 재취업으로 분류